- 세종텔레콤이 자체 개발한 이더리움 기반 프라이빗 블록체인 메인넷 - 멀티 사이드 체인 구조를 통해 무한 확장 및 서비스 별 맞춤형 블록체인 지원 가능 - 28년 이상의 네트워크 운영 노하우, 데이터센터, 초고속광통신망 및 국사 보유, 금융권 수준의 보안 환경 지원 - 향후, 주요 퍼블릭 블록체인들과 연결, 확장하여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 의지 표명 유무선 종합 통신기업 세종텔레콤(대표이사 김형진)이 28일~29일 개최되는 '블록체인 평창 포럼 2019'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경제 활성화' 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무한 확장형 블록체인(BaaS) 플랫폼, '블루브릭(BlueBrick)'을 첫 공개한다. '블루브릭(BlueBrick)'은 세종텔레콤이 자체 개발한 이더리움 기반의 프라이빗 블록체인 메인넷이다. 핵심 컨셉은 멀티 사이드 체인 구조로 설계되어, 필요 시 사이드체인의 무한 확장 및 서비스 별 맞춤형 블록체인 지원이 가능하다. 플랫폼 명칭은 '블루(Blue)' 색상에서 전해지는 안정, 신뢰, 진심, 책임감의 의미와 블록체인의 기본 단위인 블록을 '벽돌(Brick, 브릭)'로 표현한 단어가 결합되었다. 세종의 뛰어난 네트워크 운영 기술을 응축시켜 탄생한 각 브릭들이 함축된 가치와 가능성을 발산함과 동시에, 마치 벽돌을 쌓듯 여러 주체를 연결하고 확장하며, 참여자들과 자유와 상생의 새로운 나눔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궁극적인 의지가 담겨있다. 블루브릭은 무한 확장 가능한 멀티 사이드 체인 구조로 인해, 서비스 추가가 필요한 경우 체인을 병렬로 추가해 처리속도 향상 및 타 서비스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블록생성주기는 사이드 체인 별 1초로서 최소 1,000 TPS 이상을 보장하며, 대용량 TPS 필요 시 고사양 서버가 적용된 추가 사이드체인을 통해 맞춤형 지원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거래수수료 무료 정책을 적용하여 신규 블록체인 비즈니스 사업자들의 비용에 대한 부담을 낮췄다. 또한 파트너 및 참여자가 서비스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지갑(월렛) 기능과 거래 진행 상황에 대한 실시간 스캔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향후 인터 익스체인지 체인을 통해 DEX (Decentralized Exchange) 형태의 내·외부 코인 및 토큰 교환 기능 역시 지원할 예정이다. 세종텔레콤은 28년 이상의 네트워크 운영 노하우와 역삼·분당·부산에 위치한 자체 데이터센터, 전국을 커버하는 자가 초고속 광통신망과 국사들, Network APT (Advanced Persistent Threat) 솔루션 및 레이어 7 스위치 구축 등을 통해 금융권 수준의 보안 환경 지원으로 블록체인 거래의 안정성을 보장한다. 세종텔레콤의 박효진 마케팅 본부장은 "지난해 연초부터 매진해온 자사의 블록체인 플랫폼 '블루브릭'을 드디어 일반 대중에 공개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2019년은 다양한 디앱(DApp) 서비스를 출시해, 블루브릭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입증하는데 전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무선 종합 통신기업 세종텔레콤(대표이사 김형진)이 산학협력을 통한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을 가속화한다. 세종텔레콤은 6일, 동국대학교 블록체인 연구센터(교수·센터장 박성준) 및 블록체이니 전문기업인 ㈜앤드어스(대표 정용협)와 '블록체인 플랫폼 핵심기술 이전 협약식'을 진행했다. 이번 기술 이전 계약은 세종텔레콤이 블록체인 플랫폼 중 전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응용되고 있는 이더리움의 코어 기술을 확보하는 데 있다. 추후 동국대학교 블록체인연구센터가 이더리움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자체 개발한 공개형(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인 'deb_blockchain' 서비스를 출시해 본격적인 상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산처리 기술로, 누적된 거래 내역 정보를 중앙은행과 같은 특정 서버에 저장하지 않고, 온라인 거래자 컴퓨터에 똑같이 분산 투자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추가 거래가 일어날 경우, 각 참여자의 승인을 받도록 해서 검증이 수시로 이뤄지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해킹이 불가능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3사는 협약을 통해 '블록체인 주요 모듈 개발, 기술 지원 및 전수', '블록체인 플랫폼 분석 및 개선 가이드' 등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동국대학교 블록체인 연구센터 박성준 센터장은 "세종텔레콤은 미래 블록체인 경제 시대의 신성장 동력 확보에 기여하게 되어 매우 기쁘며, 세종텔레콤이 유무선 종합통신기업에서 플랫폼회사가 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세종텔레콤 최대수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이번 기술이전 계약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전문 산학 단체들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자생적 신뢰를 바탕으로 한 플랫폼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한다"면서, "장기적으로는 세종텔레콤만의 독창적인 블록체이니 플랫폼 생태계를 구축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세종텔레콤은 최근 신사업 추진 가속화를 위해 보다 간결해진 구조로 조직개편을 단행했고, 블록체인, 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스마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극적이니 투자계획을 밝힌 바 있다.
블록체인 솔루션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ICT 기업들이 전자문서 공동사업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공동사업 협약을 지난 5월 4일 체결했다. 이번 공동사업 협약은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문서 및 데이터 보관에 대한 글로벌 니즈를 확인하고,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문서 발급과 유통, 인증, 보관 플랫폼을 구축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특히 전자문서 보관 및 관리에 최적화된 탈중앙화 방식의 분산저장관리 방식을 도입하고 보다 차별화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공동 개발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컨소시엄 참여사는 공인 전자문서 보관사업자인 '한국무역정보통신'을 포함, 그룹웨어 전문기업인 '핸디소프트', 보안전문기업인 '한컴시큐어', 유무선 종합통신기업 '세종텔레콤', 블록체인 플랫폼기업 '엑스블록시스템즈', 바스아이디{BaaSid International Lab(S) Pre Ltd(대만)], 프로[P.R.O Co.,Ltd(일본)] 등 총 7개사이다. ICT 산업 각 분야의 전문기업들이 모인 만큼 각 사의 노하우와 특장점을 백분 발휘할 수 있도록 역할을 분담하고 사업구조를 설계해, 글로벌 전자문서보관 사업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이번 컨소시엄을 주도한 엑스블록시스템즈의 김승기 대표는 "블록체인 기반의 글로벌 비즈니스 수요가 향후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특히 국내1호 공인전자문서보관소 사업자인 한국무역정보통신의 기술을 지원받게 되었다. 앞으로도 각 분야의 글로벌 기업들과 해당 컨소시엄을 확대해, 의료, 공공, 정부기관, 기타 민관분야 등 글로벌 시장의 다양한 영역으로 진출할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국전자문서산업협회의 리서치에 따르면, 국내 전자문서 시장규모가 2020년에 5조원, 글로벌 전자문서관리시스템(EDMS: Electronic Documents Management System) 시장이 2022년까지 10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최근 전자문서 관련 법령이 개정되는 등 정부의 지원 역시 더해지고 있어,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문서 유통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무선 종합 통신 기업 세종텔레콤(대표이사 김형진)이 이탈리아의 A.I 소프트웨어 기업 'ORS그룹(대표이사 파비오 조피)'과 데이터, A.I 블록체인 기술의 비즈니스 활용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세종텔레콤에의 유무선 통신 및 신규 사업에 활용 가능한 스마트 기술 기반의 솔루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상호 협력 방안을 모색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 효과는 데이터 분석을 통한 고객 여정 심플화, 편의성 증대, 비용 및 시스템 효율화 등이다. 구체적인 협력 분야는 △기존 고객들의 데이터 분석 연구 △데이터, A.I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신규 솔루션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및 투자 △이동통신 및 유선통신 서비스 적용 전략 마련, 개발 및 운영 컨설팅 △인재교류 △혁신적인 신규 비즈니스 협력 사업에 대한 자금 조달 등이 포함된다. ORS그룹의 파비오 조피(Fabio Zoffi) 회장은 "기술 혁신에 있어 큰 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에서 세종텔레콤과 협력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ORS그룹이 통신 시장에서 갈고 닦은 통합적 기량과 A.I와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솔루션이 세종텔레콤의 통신사업 확장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텔레콤 전략사업본부 임기채 부사장은 "고객 디지털 자산 보호 및 가치 증진"을 핵심 가치로 한 탈중앙화 방식의 '세종텔레콤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을 올 상반기 내 출시할 예정이다"며, "세종텔레콤이 보유한 국내 인프라 및 기술 노하우에 ORS그룹의 기술, 솔루션을 결합해, New ICT 산업의 새로운 디지털 혁신 시대를 열게 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세종텔레콤은 동국대학교 '블록체인 연구센터' 및 '앤드어스'와 함께 블록체인 플랫폼 핵심기술 이전 협약 체결을 맺고, 신사업 연구 개발 및 사업화에 박차를 가하며 성장기반을 다져가고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세종텔레콤과 함께 하는 개인,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산·학계 참여자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각 분야별 협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공유 경제를 구축 및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ORS그룹은 독자적으로 개발한 A.I,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을 사용해 기업들의 업무 절차를 최적화하고 자동화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20여년이 넘는 세월 동안 유통, 에너지, 금융, 통신 및 제조 등의 여러 산업을 넘나들며, 세계적인 기업들에게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해 연간 10억 달러 이상의 비용을 절감케 한 바 있다.
종합 유무선 통신기업 세종텔레콤(대표이사 김형진)은 2018년 핵심 신규 사업인 블록체인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을 상반기 중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세종텔레콤이 선보일 디지털 자산거래 플랫폼은 '탈중앙화' 와 '투명성'을 바탕으로 '고객 디지털 자산의 완벽한 보호와 가치 증진'을 핵심가치로 한다. 이를 위해 탈중앙화 방식의 블록체인 거래 솔루션을 도입하여 사용자간의 투명한 실 거래가 가능토록 구현하여, 세종텔레콤은 기존 통신 인프라 자원과 거래 중개 플랫폼을 제공하고, 참여자는 아이디어, 기술, 컨텐츠 등의 자산을 제공하고 공유하여, 참여자들과 함께 수익을 나눠 갖겠다는 전략이다. 또한 현재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 사업자 중 유일하게 코스닥에 상장된 기간통신사업자로서, 신용도과 재무안정성, 이용자 보호 노하우, 5년 연속 정보보호관리체계(ISMS)인증 획득, 핵심 경영진의 금융권 운영 경험 보유 등 세종텔레콤만이 보유한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기존 금융권 시스템과 동일한 레벨의 보안 환경을 도입하여 이용자가 보유한 자산을 보호하겠다는 것이 가장 큰 목표이자 특징이다. 세종텔레콤의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은 적법한 절차에 따라 인증된 모든 영역의 디지털 자산 거래에 활용될 계획으로, 향후 정부 정책에 따라 변경 운영이 가능하다. 세종텔레콤은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의 성공을 위해 독보적인 방식의 '신(新) 정보통신기술(NEW ICT)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전담팀을 구성해 운영 중이다. 보다 나은 아이디어 창출과 집단지성을 위한 조직 재편, 블록체인 플랫폼 핵심기술 이전 및 사업화를 위한 국내외 산·학 기관 및 기업들과의 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 등을 통해 블록체인·데이터·인공지능(A.I)과 같은 스마트 기술 확보, 신사업 연구개발 및 사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향후에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차세대 전자문서 유통 시장 선점, 기존 통신 인프라 및 융합 신규 서비스를 개발해, 미래 신성장 및 중장기 성장 기반을 다질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사람과 사람, 사물과 사물, 사람과 사물이 서로 연결되어, 자발적으로 진화하고, 자율적으로 참여하고, 공유하고 유통'하는 패시브 인컴(Passive income)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세종텔레콤 전략사업본부 임기채 부사장은 "세종텔레콤과 함께 하는 개인,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산·학계 참여자를 발굴해, 각 분야별 협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공유 경제를 구축 및 확장하는 일에 집중할 예정"이라며, "세종텔레콤이 보유한 우수한 통신 인프라 및 서비스 노하우가 블록체인 기술을 만나 폭발적인 시너지를 이끌어 낼 계획"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한편, 세종텔레콤은 중·소 상공인과의 협력관계 구축을 위한 세종페이, 마트요 등의 서비스를 운영 중이며, 보안솔루션 트로이컷과 스마트영상보안 CCTV, 디지털무선기 유통 사업을 시작했다. 지난 3월에는 블록체인 전문기업 써트온, 이스라엘 인공지능(A.I)기술 보유 기업 SYTE.AI 등과 MOU를 체결하여 차세대 전자문서 유통과 커머스 신사업을 연내에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유무선 종합 통신 기업 세종텔레콤(대표이사 김형진)은 지난 13일 블록체인 전문 기술기업 써트온(대표 김승기, 박경옥)과 전략적 제휴 업무협약(MOU)를 체결하고, 차세대 전자문서 유통 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세종텔레콤은 이번 협약을 통해 써트온의 '엑스체인(X-Chain, 다차원 분산장부시스템)' 기술이 적용된 전자문서 특화 블록체인 플랫폼인 '애스톤(Aston)'에 자사가 보유한 기존 인프라 및 ICT 기술을 결합해, 차세대 전자문서 유통 플랫폼을 개발하고 공동사업을 적극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기존 전자문서 유통 구조에 블록체인 기술이 도입되면 보안, 시간, 비용 측면 등에서 보다 효율적인 유통이 가능해짐으로써 기존 영역에 파괴적 혁신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이는 법률, 세무, 행정 등 전문 지식 영역뿐만 아니라 의료, 교육 등 개인정보가 포함된 영역 등 다양한 분야의 문서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글로벌 보안, 인증 및 블록체인 플랫폼 전문기업인 써트온이 자체 개발한 '엑스체인 플랫폼'은 세계 최초로 블록체인을 다차원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특허를 출원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기 위하여 PCT출원 및 해외특허 출원, 국내외 유수의 기업들과 실증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엑스체인 플랫폼'은 기존의 선형적인 블록체인의 단점인 데이터 처리속도 및 컴퓨팅 파워를 개선해 모바일 환경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도록 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며, 전자문서 및 디지털 컨텐츠의 위변조와 무결성을 검증하는데 최적화 되어있다. 세종텔레콤의 박효진 본부장은 "금년 상반기 내 데이터, 인공지능(A,I), 블록체인이 융합된 자사의 실제 비즈니스 모델 구축이 구체화되어 출시 예정이며, 국내는 물론 글로벌 진출을 위한 단계별 사업 확장 전략까지 이미 준비된 상태"라고 밝히며, "더 나아가서는 세종텔레콤의 독창적인 융합형 비즈니스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 이라고 밝혔다. 세종텔레콤의 코어기술개발팀은 지난 2월 동국대학교 블록체인연구센터(센터장 박성준)와 ㈜앤드어스(대표 정용협)와 함께 블록체인 플랫폼 핵심기술 이전 협약 체결과 함께 각 분야별 협업 생태계 조성, 공유 경제 구축 및 확장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진행하고 있다.